백종원 빽햄 논란과 형사 입건: 무슨 일이 있었나?
백종원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요리사이자 사업가 중 한 명으로, 더본코리아를 통해 외식업과 식품 산업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음. 이미지도 좋았던 이유가, 실제로 백종원 대표가 출연하는 방송들은 모두 골목상권, 농가살리기 등등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는 주제로 방영되었기 때문임. 하지만 2025년 들어 백종원 빽햄 논란과 형사 입건이라는 두 가지 사건으로 그의 신뢰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흔들리고 있음. 이 글에서는 두 사건의 전말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 여파를 분석해보겠음.

백종원 빽햄 논란: 소비자 신뢰를 잃은 사건
빽햄 논란의 시작
백종원 빽햄 논란은 2025년 설 연휴를 앞두고 더본코리아가 출시한 빽햄 선물세트에서 비롯됐음. 백종원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빽햄(200g) 9개로 구성된 선물세트를 정가 5만 1,900원에서 45% 할인한 2만 8,500원에 판매한다고 홍보음. 그는 “100% 한돈을 사용했고, 이 가격에 이 퀄리티면 정말 좋다”며 자신감을 내비쳤음. 더본몰에서 진행된 판매는 초반 품절될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지만, 곧 소비자들의 불만이 폭발하며 논란이 시작됐음.
논란의 핵심: 가격과 품질 문제
빽햄 논란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격 책정 의혹
할인가 2만 8,500원이 경쟁 제품인 CJ제일제당 스팸(200g 9개 세트, 온라인 최저가 약 2만 1,000원대)보다 비쌌음. 소비자들은 정가를 높게 설정한 뒤 큰 할인율을 적용해 가성비를 과장한 게 아니냐며 비판했음. “이게 정말 저렴한 거 맞나?”라는 의문이 커졌음. -
돼지고기 함량 논쟁
빽햄의 돼지고기 함량은 **85.4%**로, 스팸(91.3%)보다 낮음. 백종원은 “100% 국산 한돈”을 강조했지만, 스팸은 수입산 돼지고기를 포함하고도 함량이 높았음. 가격 대비 품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졌음. -
이미지와의 불일치
백종원은 “농가를 돕겠다”, “가성비 좋은 음식을 제공하겠다”는 메시지로 신뢰를 쌓아왔음. 하지만 이번 사건으로 그의 발언과 실제 상품이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쏟아졌고, “말만 공익이지 상술 아니냐”는 여론이 형성됐음.

백종원의 해명과 역효과
논란이 커지자 백종원은 2025년 1월 26일 유튜브 해명 영상을 올렸음. 그는 “소량 생산이라 원가가 높다”, “고기 함량 차이는 14g(100원 미만)으로 미미하다”, “한돈 농가를 돕기 위한 취지였다”고 설명했음. 하지만 이 해명은 오히려 역풍을 맞았음. 소비자들은 “사과 대신 변명만 한다”며 실망했고, 결국 더본코리아는 빽햄 판매를 중단했음. 이 사건은 백종원의 신뢰도와 더본코리아 주가에 큰 타격을 주었음.

백종원 형사 입건: 법적 문제로 번진 위기
형사 입건 사건 개요
빽햄 논란으로 여론이 악화된 가운데, 2025년 3월 백종원은 형사 입건이라는 또 다른 논란에 휘말렸음. 충남 예산경찰서는 백종원을 건축법 위반, 농지법 위반, 산지관리법 위반 혐의로 수사 중임. 이는 더본코리아와 백종원이 이사장으로 있는 예덕학원이 충남 예산군 오가면 백석공장 및 관련 시설에서 법을 위반했다는 고발에서 시작됐음.
구체적인 혐의 내용
-
농지법 및 산지관리법 위반
백석공장이 농지전용 허가 없이 창고로 사용됐고, 예덕학원의 급식소가 산지에서 허가 없이 운영된 정황이 드러났음. 이는 농지와 산지를 원래 용도와 다르게 사용한 불법 행위로 간주됨. -
건축법 위반
백석공장 인근 비닐하우스가 용도와 달리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음. 이 건축물은 이미 행정기관의 철거 명령을 받았지만, 불법 운영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며 문제가 됐음.

더본코리아의 대응과 현재 상황
더본코리아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며 해명했지만, 구체적인 반박 대신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내놨음.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며, 이 사건은 빽햄 논란, 감귤 오름 맥주 함량 문제, 액화석유가스법 위반 과태료 등 연이은 논란과 맞물려 백종원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주고 있음.

백종원과 더본코리아의 미래는?
백종원 빽햄 논란은 그의 가성비와 신뢰 이미지를 훼손했고, 형사 입건은 사업 운영의 법적 문제까지 부각시켰음. 두 사건은 백종원이 강조해온 공익적 가치와 실제 행보의 괴리를 드러내며, 대중의 실망을 키웠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다수임. 더본코리아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백종원의 브랜드에도 다시한번 위기에 봉착했음.
과거 백종원은 사업초기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번쩍이는 아이디어와 빤짝이는 사업 수완으로 위기를 극복해왔다고 알려져있음. 하지만 이번엔 소비자 신뢰와 법적 문제까지 얽히며 더 큰 도전에 직면했음. 앞으로 백종원 대표의 대응이 주목됨.